자비출판 절차 상세 설명: 처음부터 끝까지 실전 가이드
- 리퍼블릭 편집부
- 6월 7일
- 2분 분량

책을 직접 만들고 싶지만,
출판사에서 연락이 오지 않거나
기획출판의 문턱이 높다고 느껴진다면?
자비출판이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특히 요즘은 POD(소량 인쇄)나 전자책 서비스 덕분에
비용 부담도 줄고, 자유롭게 자신의 책을 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있죠.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라는 말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자비출판의 전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1. 자비출판이란?
자비출판은 저자가 직접 비용을 들여 책을 출판하는 방식입니다.
출판사 투자 없이, 저자가 전 과정을 주도하거나
출판 대행사 또는 프리랜서 전문가와 협업하게 됩니다.
항목 | 내용 |
주체 | 저자 본인 (또는 대행사와 협업) |
비용 부담 | 저자 100% 부담 |
유통 방식 | POD / 전자책 / 소량 납품 / 비매품 |
출간 목적 | 브랜딩, 가족기념, 자기계발, 콘텐츠 활용 등 |
🛠️ 2. 자비출판 절차: 8단계로 정리
📘 STEP 1. 원고 집필 or 대필
직접 쓰거나 대필 작가에게 의뢰
대필의 경우 인터뷰 기반으로 집필
✍️ STEP 2. 교정·교열
오탈자, 띄어쓰기, 문맥 다듬기
국립국어원 기준 맞춤법 활용 권장
🎨 STEP 3. 편집디자인
표지 디자인 (앞/뒤/책등)
내지 디자인 (본문 서식, 장 구성, 폰트, 페이지 번호 등)
📇 STEP 4. ISBN 발급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급 (무료)
출판사 보유 시 대행 가능
📦 STEP 5. 납본 및 등록
납본: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 법적 필수
CIP 등록(서지 정보)도 함께 진행
🖨️ STEP 6. 인쇄 or POD
옵셋 인쇄(대량) vs POD(소량 1부부터)
인쇄소 직접 의뢰 or 대행사 통해 제작
🛒 STEP 7. 유통 등록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등 (POD 전용 유통채널)
또는 전자책 변환 및 플랫폼 등록 (리디북스, 밀리의 서재 등)
📢 STEP 8. 홍보 및 마케팅
블로그, 브런치, 인스타그램 등 SNS 홍보
독자 대상 북토크, 출간 기념 모임 등 연계 이벤트
📊 인포그래픽 요약: 자비출판 절차 8단계
[ 자비출판 실전 절차 ] 1. 원고 작성 or 대필 2. 교정·교열 3. 편집디자인 4. ISBN 신청 5. 납본 및 CIP 등록 6. 인쇄 (옵셋 or POD) 7. 유통 연계 8. 홍보 마케팅
💬 실제 사례: 40대 직장인 에세이 출간
목적: 퇴사 후 강의 브랜딩용 콘텐츠 확보
방식: 대필 + POD 인쇄 + 교보문고 유통
소요 기간: 약 6주
총 비용: 약 320만 원
성과: 책 출간 후 강의 문의 증가, 인스타그램 북소개 영상 제작
🤔 자비출판 시 유의할 점
항목 | 체크포인트 |
표지 디자인 | 외주 시 레퍼런스 제시 필수 (전문 북디자이너 추천) |
ISBN 발급 | 출판사 등록 여부에 따라 달라짐 (개인 ISBN 발급 가능) |
POD 인쇄 | 수량 대비 단가 높음 (최소한의 낭비 방지용으로 적합) |
전자책 병행 | 교보, 리디북스 등과 연동 가능 / 변환 포맷에 주의 |
계약서 작성 | 외주 시 계약서, 저작권 조항 명시 권장 |
✍️ 요약 정리
자비출판은 ‘나만의 책’을 만드는 현실적인 방법이다.
총 8단계로, 원고부터 유통·홍보까지 직접 주도하거나 대행할 수 있다.
비용은 약 200만~500만 원 사이, 목적과 디자인 수준에 따라 다르다.
POD와 전자책 활용으로 유통을 효율화할 수 있으며, 홍보 전략도 중요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