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자서전대필 출간 결과, OO으로 예측할 수 있다?

리퍼블릭 편집부

안녕하세요. 리퍼블릭미디어입니다.

출판은 디테일과 디테일의 연결이 중요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책이 출간되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라는 식의 직선적인 결론만 바라보지만,

한 권의 책이 출간되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원고를 기획하는 단계부터

어떤 독자층을 대상으로

이 원고를 특화시켜나가야 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이는 자서전대필로 출간하는 경우 특히 더 그렇습니다. ​

표지만 예쁘면 책이 팔린다?

제목과 표지디자인이 그럴 듯하더라도

원고의 구성과 문장의 호흡은 기획자가 켜켜이

쌓아올린 고민의 결과물입니다. 이는 외부에서

쉽게 따라할 수 없는 영역의 것이고, 이 영역에서

독자의 마음을 얻었을 때에라야

한 권의 책의 성패를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자서전대필로 기획을 한다고 하면, 출간하려는

책의 주제 키워드를 정하는

 순간부터 승부가 시작된다고

보면 됩니다. 


요즘처럼 책이 안 팔린다고 아우성인 시대에

어떻게 하면 자서전대필로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을까요? 책 한 권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정성과

노력을 생각하면, 이는 기획자와 편집자, 작가,

디자이너, 그리고 교정자의 합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작가가 필력이 좋더라도,

기획자의 프로듀싱을

받지 못하면 그 자서전대필의 방향성은

산으로 갈 것이며

디자인이 아무리 예뻐도

결국 이것이 정확한 기획과

맞물리지 못하면 단지 눈길을

끄는 것에 그치고 말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자서전대필 출간 절차는 ..​

기획->집필->디자인->교정->마케팅

바로 위 일련의

절차가 기반이 되어 이 과정의

디테일과 디테일의 연결이

잘 되었을 때, 진행했을 때에라야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자서전대필로 어떤 원고를 좋은 결과물로

만들고 싶다면, 어느 한 가지 요소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위 과정의 유기적 조합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서전대필은 글만 잘쓰면 되겠지"

"대필출판은 표지디자인이 중요하지"

"마케팅만 잘하면 되지."

이와 같이 어느 한 가지 요소만으로 책의 성패를

결정될 수 없고, 처음 기획부터 원고를 쓰는 것

중간에 원고를 보강 내지 수정하는 것, 나아가

표지와 내지 디자인을 시안을 뽑고

인쇄를 하는 것

또 이를 대중에게 알리는 모든 절차가 하나의

'종합예술'처럼 자서전대필의 결과를 좌우하는 것입니다. ​

자서전대필 비용이 저렴하다면..?




이렇게 본다면 자서전대필 비용은 결코 100~150만원

처럼 저렴하게 진행될 수 없겠지요.

모든 과정이 사람의

손으로 이뤄지다보니,

비용을 줄일 여지란 오로지 '인쇄'의

영역밖에는 없는 것입니다.

이 말을 바꿔서 설명하면,

자서전대필 통한 출판이

'초특가'로 진행된다면, 앞서

말씀드린 결과물 사이의 연결고리가 매끄럽게 돌아갈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단 뜻이고

이는 출간 결과가 어떻게 될 지

너무도 명확하겠지요.

그렇다면 만약 자서전대필

비용이 어느 정도 되어야 할지

생각해보신다면, 기획과 집필, 교정과 디자인, 마케팅에

얼마만큼의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지를 생각해보시는 것이

정확한 '적정가' 산출에

조금이라도 근접할 것입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