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서전 대필 작가 선택 기준: 내 삶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사람을 고르려면
- 리퍼블릭 편집부
- 6월 7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6월 7일

책 한 권에 삶이 담기고, 그 삶을 누군가가 대신 써준다는 건
생각보다 훨씬 더 깊고 조심스러운 일이 된다.
그 사람이 어떤 글을 쓰느냐보다,
어떤 귀로 들어주고, 어떤 마음으로 정리하느냐가 더 중요할 때가 있다.
자서전 대필 작가를 고른다는 건
그저 ‘글을 잘 쓰는 사람’을 고르는 게 아니다.
나의 말투, 감정, 판단, 후회를 온전히 담아낼 수 있는 사람을
‘기록의 동반자’로 초대하는 일이기도 하다.
✅ 1. 왜 작가 선택이 중요한가?
이유 | 설명 |
삶의 깊이 반영 | 작가의 공감력과 해석력이 글의 온도를 결정함 |
문체의 적합성 | 화자의 말투를 자연스럽게 살려낼 수 있는 작가가 필요함 |
일정과 소통 | 긴 호흡의 작업이므로 일정 조율과 대화가 원활해야 함 |
비밀보장 | 화자의 내밀한 이야기를 지켜줄 윤리의식과 책임감 필수 |
🛠️ 2. 자서전 대필 작가 선택 기준 6가지
① 인터뷰 역량
듣는 태도, 질문의 깊이, 상황에 따라 말문을 여는 능력
단순 정보가 아닌 감정을 이끌어내는 대화력
글 잘 쓰는 사람보다 잘 듣는 사람이 더 중요한 분야
② 문체의 다양성
에세이형, 회고형, 이야기체 등
다양한 톤을 구현할 수 있는 글쓰기 역량
화자의 나이, 직업, 배경에 어울리는 맞춤형 언어감각 보유
③ 유사 작업 경험
자서전, 회고록, 인터뷰집 등 유사 분야 작업 경험
단편 글쓰기(블로그, 칼럼)보다
긴 호흡의 구조 있는 글쓰기 경험 여부가 중요
④ 피드백 수용력
화자의 의견을 존중하며 조율할 수 있는 작가
“내가 보기엔 이게 맞아요”보다
“이런 방향도 가능합니다”라고 설명할 줄 아는 사람
⑤ 일정 준수와 프로세스 운영
일정 관리에 신뢰가 가는 작가
계약서 기반으로 작업 범위와 수정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작가
⑥ 기본적인 윤리의식
원고 유출 금지, 인터뷰 내용 비공개 유지
저작권, 저자명 표기, 출판 시 역할 정리 등
기록자의 기본 윤리를 지키는 작가
📋 작가 선택 전 확인할 질문 리스트
질문 | 체크포인트 |
자서전 대필 경험이 있으신가요? | 글의 분량과 서사 이해 여부 |
인터뷰는 몇 회 진행하시나요? | 작업 흐름과 화자 존중 태도 |
문체는 어떤 식으로 조율되나요? | 맞춤형 글쓰기 가능 여부 |
원고 검토 및 수정은 몇 회 가능한가요? | 협업 가능성과 유연성 |
계약서에 작업 범위가 명시되나요? | 분쟁 방지 및 일정 관리 책임감 |
💬 실전 사례 비교
작가 유형 | 사례 |
A 작가 | 대필 경험 다수, 인터뷰 5회, 가족사 중심 회고록에 특화. 연세 많은 화자에게도 말문을 열게 하는 능력 탁월 |
B 작가 | 칼럼 경력은 많지만 자서전 경험 부족. 감정선 정리보다 팩트 정리에 집중하여 결과물이 건조함 |
C 작가 | 경영인 중심 자서전에 특화. 사업 전환기와 가치관 중심 구조 설계 능력 뛰어남 |
“좋은 작가는 말보다 리듬을, 내용보다 숨결을 먼저 기록한다.”단지 글 솜씨로 판단하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 요약 정리
자서전 대필 작가는 기록자이자 공감자, 설계자이자 문장가다.
글쓰기 실력 못지않게 말을 듣고 구조화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인터뷰 역량, 문체 구현력, 유사 경험, 소통 태도, 일정 관리, 윤리 의식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작가 선택은 곧 ‘내 삶을 맡길 수 있는 사람’을 결정하는 일이며,
그것이 곧 자서전의 완성도를 결정짓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