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책대필 과도한 기대 vs. 현실적 목표?

리퍼블릭 편집부

책대필을 통해 베스트셀러를 찍겠다, 라는 사람이 있었다. 첫 책이었다. 출간 경험이 전무한 저자가 책대필을 통해 베스트셀러를 만들 확률은, 돈을 퍼붓는 마케팅을 하지 않는다면 0.00001%


사람들은 통계보다는 자기확신에 의해 움직인다. 다른 사람은 안 되도 내가 하면 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안 되는 걸 내가 했을 때 되게 하려면 영혼을 갈아넣어야 한다. 그러지 못한다면 책대필을 선택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그 다음 문제는 좀 더 현실적인 목표를 정하는 것이다 . 책대필 현실적인 목표치는 얼마일까. 흔히 출판사는 1쇄인 2천부를 찍어야 손익분기를 넘는다. 저자는 어떨까? 저자가 1만 5천원짜리 책 2천부를 찍고, 인세를 50% 가져간다면, 1천400만원 인세가 나온다. 물론 2천부는 한 달만에 팔리지 않는다. 리퍼블릭 통계로는 1년을 기다려야 한다. 1년 간 꾸준히 독자 리뷰와 검색 노출이 쌓일 경우 2천부 정도 팔면 선방했다고 한다. 첫 책을 내고 연봉 1400만원. 적을까? 적지 않다. 이 정도면 거의 홈런을 쳤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책대필 기대치가 꼭대기에 있는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에이, 그것밖에 안 팔려요? 이렇게 생각한다. 하지만 마포와 파주의 출판사를 모두 방문해서 설문조사를 해보면 1년에 2000부 파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알게 된다. 그것이 현실인 것인데, 책대필을 잘 모르는 사람은 기대를 넘어 환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엄연히 턴키 방식의 아웃소싱이다. 내 영혼을 갈아넣는 대신, 시스템의 힘을 빌어서 안타를 치는 전략이다. 1년의 2000부, 이것이 현실적인 목표인 것이다. 물론, 100권 중 1권 정도는 1년에 5천부 이상이 팔리기도 한다. 이 경우는 정말 만루 홈런 격인데 3가지 요인이 맞물린 케이스다. 시즌, 트렌드, 저자 지명도 첫째, 책이 나온 시즌이 시의적절했고 둘째, 그 책이 다룬 주제는 트렌드에 맞았으며 셋째, 저자의 지명도가 어느 정도 있는 경우


책은 3개월 안에 5천부 파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저 3가지를 기획출판, 내지는 자비출판으로 맞추기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모든 과정이 상호 컨펌과 피드백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럼 출판사 투고하면 시기가 딱 맞을까? 그럴 수 있다. 하지만 그 날이 언제인지 모른다는게 문제다. 원고를 쓰고 1년 뒤, 2년 뒤가 될 수도 있다. 내가 아는 저자는 출판사 투고 후 3년을 기다려 책이 출간되었다. 그만큼 출판사는 사활을 걸고 주판알을 튕겨서 책을 내기 때문에 훨씬 더 책 내기가 빡빡하다 . 결론. 기획출판이나 책대필로 책을 내려면 내가 원하는 시기에 어느 정도 원하는 퀄리티로 출판이 가능하며, 50%의 인세를 받는다면 1년에 2천부 파는 것이 가능하다. 정도이다. 도움이 될만한 포스팅은 아래와 같습니다.

コメント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