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리퍼블릭미디어입니다.
세상엔 다양한 사람들이 여러가지 이유로 책을 쓰려고 합니다. 더할나위 없는 것은 혼자서 원고를 기획하고, 탈고한 뒤 내 책을 가장 잘 만들어줄 출판사에 투고해서 운이 좋게도 이 원고가 서점에 출간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당연히 이렇게 내가 원하는 대로 출간될 확률은 낮죠.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기획출판, 자비출판 등의 형태로 책을 내려고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고를 혼자서 끼적거리다 도저히 엄두가 나지 않아 책대필부터 의뢰하기도 합니다. 사실 완성된 원고를 가지고 출판을 하려고 들 때는 기획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미 애를 낳은 것과 다름없죠. 부모를 선택할 수도, 혈액형을 바꿀 수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원고를 다 쓰고 이 원고를 토대로 책을 내려는 경우보다는, 책대필부터 처음부터 시작해서 기획을 하는 케이스를 더욱 반깁니다.
책대필로 출간을 해보지 않은 분들은, 출판이 단순한 집필비용이나 인쇄비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문제는 복잡한데, 출판은 기획에서 출간 후까지 생각보다 많은 협의의 절차와 선택의 순간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 과정을 생략하거나 무시한 채 저렴한 비용만 생각하고 결과물을 내줄 곳을 찾는다면, 단순한 대필작가를 찾아서 자비출판을 하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편집 과정에서의 책의 구성과 서점에 입고될 만한 편집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그리고 콘텐츠 저작권 보호와 출간 이후의 도서 관리 및 마케팅의 영역까지 생각하면, 단순히 집필비용이나 인쇄비의 문제로 책대필을 단순화시켜서 볼 수가 없는 상황이 됩니다. 이 때문에 저희는 적어도 책대필을 하려는 이유가 서점 출간이 목적이라면, 이 전 과정을 출판컨설팅의 형태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출판사와 함께 하라고 조언드립니다. 굳이 저희가 아니어도 좋습니다. 책을 내려는 분들이 기획 따로, 집필 따로, 편집 따로, 디자인 따로...비용을 아끼기 위해 등등등의 단계별 외주를 주다가 결국 책이 결과물로 나왔을 때 만족하지 못하는 케이스를 워낙 많이 봤기 때문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책대필은 기획이 시작이고, 집필과 편집, 교정과 디자인, 인쇄는 전문적이고 일관성 있게 진행되어야 하는 작업입니다. 이 때문에 출판사와 함께 일을 하시되, 내 원고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전문 필자를 만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