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서점에 자비출판으로 책을 낸다면 얼마의 책출판비용이
적정할까요. 예상하셨겠지만 이 질문에는 답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책의 제작 요소에 따라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책출판비용 저마다 다른 이유
어떤 저자는 책을 서점에 내기보다는
본인이 소장하면서 주변에 나눠주고 싶어합니다 .
이런 저자들을 위해 자비출판을 기본 인쇄 부수를
500부 이상으로 책정해두는 출판사도 많죠.
그리고 만약 책출판비용을
대필부터 시작해서
500부 책까지 받아보고자
한다면 비용은 1천만원이
훌쩍 넘어갈 겁니다.
평균가가 이정도입니다.
출판기념회를 하는
정치인 분들이나, 아니면 교육용
사업용 목적으로 실물 도서의
수량이 많아야 하는
분들은 이 코스를 선호합니다.

하지만, 서점에 책은
내고 싶은데 내가 책을 많이
가질 필요가 없는 분들은 어떠할까요?
다시 말해 서점에
판매용 도서로 공급하고 저자는
소장용으로만 책을
가지고 있으면 되는 경우죠.
교보문고나 예스24처럼
출판사에 입점하면서 네이버 인물등록이나
뉴스 등재를 통해
정식 작가가 되는 게
목적이라면 자비출판처럼
수백부 단위의 책 실물을 찍을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이 경우는 저자증정본을 가지고
책을 소장하되, 대부분의 책을 판매용 도서로
제작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아마 부크크와 같은 POD 출판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여기에 해당할 겁니다. 기획출판처럼
자비를 들이지 않고 책출판비용을 생각하는 분들은
대부분 책을 출간하고 싶다,는 꿈을 실현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다시 말해 이렇게 기획출판을
할 경우에는 내가 원고를 완성도 있게 써야 할 뿐더러
이를 콘텐츠화하는 디자인이나 판매 요소를 저자가
스스로 컨트롤할 수 없기 때문에 책출판비용을
아끼는 것 외에는 이렇다 할 메리트가 없습니다.
만약 셀프브랜딩이나 사업적 목적, 또는
대외적 이미지를 생각한다면 원고 기획부터
책대필, 그리고 표지와 내지 디자인과 마케팅
요소까지 생각해야 하죠. 그렇기 때문에
대필부터 출판까지 한 번에 진행하는 반기획출판
형태로 책을 출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리하면, 단순히 책출판비용만 생각해서
기획출판을 할 것이냐, 원고 단계부터 기획을
해서 책을 완성도 높여서 낼 것이냐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반기획출판처럼 책을 내면
평균 500-600만원 수준의 비용으로 책출판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도 자비출판의 경우처럼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등 전국 서점에 출판이
똑같이 가능하고, 네이버 인물등록도 정상적으로
이뤄지게 됩니다.
따라서 자신이 어떤 목적으로 책을 내는지
생각해보고 그에 맞게 자비출판을 선택할지, 혹은
반기획출판을 선택할지 고민한 뒤에 출판사를
결정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