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록과 자서전의 차이: 같은 듯 다른 두 가지 기록의 얼굴
- 리퍼블릭 편집부
- 6월 7일
- 2분 분량

사람은 누구나 저마다의 방식으로 살아온 시간을 기억한다.
어떤 이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왜 그렇게 살아왔는가’를 말하고,
또 다른 이는 자신이 살아온 길을 타인의 눈앞에 펼쳐 보이듯 정리한다.
그 둘을 우리는 흔히 자서전 혹은 회고록이라고 부른다.
서점의 진열대 위에서는 두 장르가 나란히 놓여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시선과 목적, 감정의 밀도는 꽤 다르다.
✅ 1. 회고록과 자서전의 정의
구분 | 자서전 | 회고록 |
정의 | 자신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기록한 책 | 특정한 시기나 사건을 중심으로 회상한 글 |
어원 | '자기(Self)' + '글쓰기(Writing)' | '뒤돌아보다(recall)' + '기록(record)' |
주체 | 개인의 삶을 종합적으로 보여줌 | 특정 경험을 중심으로 메시지를 전달함 |
예시 | 유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생애 전반 | 정권 시절의 정치 활동, 전쟁 경험 등 특정 구간 중심 |
🛠️ 2. 목적의 차이
요소 | 자서전 | 회고록 |
기록 대상 | 전체 생애 | 특정 시기 또는 사건 |
글쓰기 목적 | 자기 성찰, 가족·후손에게 전하는 기록 | 사회적 메시지, 사건의 증언 또는 해석 |
주된 독자 | 자녀, 가족, 대중 | 역사적 맥락에 관심 있는 독자, 전문 연구자 등 |
자서전은 ‘나의 삶을 정리’하는 데 중심을 두고,
회고록은 ‘그 시기를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 3. 구성 방식의 차이
항목 | 자서전 | 회고록 |
시간 흐름 | 연대기적 흐름 중심 | 사건 중심, 시간의 비연속 가능 |
서사 구조 | 유년기 → 성장 → 전환점 → 현재 | 주제(정치·전쟁·직무 등)에 따라 에피소드 중심 |
문체 | 감정 중심, 서정적 문장 가능 | 분석적, 증언적 문장 많음 |
표현 자유도 | 개인적 감정 자유롭게 기술 | 공적 사실관계 조율 필요 |
📘 4. 실제 예시 비교
유형 | 책 제목 | 특징 |
자서전 |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 (김수현) | 감정 중심 자기 고백, 공감 기반 글쓰기 |
회고록 | 『문재인의 운명』 (문재인) | 정치 활동 중심 회상, 특정 시기의 사건 구조 |
✅ 참고: 외국 사례로는 오바마의 『내 아버지로부터의 꿈』은 자서전,『약속의 땅』은 회고록에 가까운 구성이다.
💬 선택 가이드: 나는 어떤 책을 쓰고 싶은가?
자서전이 어울리는 경우
삶 전체를 정리하고 싶을 때
가족, 지인, 후손에게 나의 이야기를 남기고 싶을 때
감정과 생각의 흐름을 중심으로 쓰고 싶을 때
회고록이 어울리는 경우
특정 경험(예: 기업 창업, 전쟁, 이민 등)을 정리하고 싶을 때
대중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분명할 때
사회적 맥락 안에서 나를 해석하고 싶을 때
✍️ 요약 정리
자서전은 ‘삶 전체를 아우르는 이야기’이고,
회고록은 ‘특정 시기나 경험을 중심으로 한 회상’이다.
자서전은 감정 중심, 회고록은 사건 중심으로 구조화된다.
대필 작가 또는 스스로 책을 쓰고자 할 때,
어떤 목적을 위해 쓰는가를 먼저 결정해야
구조와 문체, 구성 방식이 흔들리지 않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