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제작 시 통사와 정사, 무엇이 다를까요?
- 리퍼블릭 편집부
- 7월 11일
- 3분 분량

통사와 정사, 무엇이 다를까요?
사사제작 의뢰인을 위한 가이드
통사(通史)란?
"시간의 흐름을 따라 연결된 역사 이야기"
통사는 마치 강물처럼 시간 순서대로 흘러가는 역사를 기록한 것입니다. 특정 시대나 지역의 역사를 처음부터 끝까지 연대기적으로 서술하여,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통사의 특징:
시간 순서에 따른 체계적 서술
역사의 연속성과 변화 과정 중시
전체적인 역사적 맥락 제공
독자가 역사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음
대표적인 통사 예시:
『삼국사기』: 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시대순으로 기록
『고려사』: 고려 왕조 500년 역사를 연대기적으로 서술
『조선왕조실록』: 조선 왕조의 역사를 왕대별로 기록
정사(正史)란?
"국가가 공식 인정한 권위 있는 역사서"
정사는 국가나 권위 있는 기관에서 공식적으로 편찬하고 인정한 정통 역사서입니다. 사료의 신뢰성과 권위성이 보장되며, 후대 역사 연구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문헌입니다.
정사의 특징:
국가 또는 공인 기관의 공식 편찬
높은 사료적 가치와 신뢰성
엄격한 편찬 원칙과 체계적 구성
야사(野史)나 개인 기록과 구별되는 공신력
정사와 대비되는 개념:
야사(野史): 민간에서 기록한 비공식 역사
사찬사서(私撰史書): 개인이 저술한 역사서
실기(實記): 특정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기록
사사제작 과정에서 통사와 정사 개념이 중요한 이유
1️⃣ 편찬 방향성 설정
통사 지향적 접근
시간 순서를 중시한 연대기적 구성
역사의 흐름과 변화 과정에 초점
독자의 이해를 돕는 스토리텔링 방식
정사 지향적 접근
사료의 정확성과 객관성 추구
엄격한 사실 검증과 교차 확인
학술적 가치와 공신력 확보
2️⃣ 사료 수집과 검증 기준
통사 제작 시:
시대별 대표 사료의 체계적 수집
역사적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중시
연속성 있는 기록의 확보가 핵심
정사 제작 시:
1차 사료의 우선적 활용
다각도 사료 검증과 교차 확인
공신력 있는 기관 자료의 중점 수집
3️⃣ 서술 방식과 구성 체계
통사적 서술:
시기별 구성 → 연대기적 흐름 → 인과관계 설명 → 역사적 의미 부여
정사적 서술:
사료 검증 → 객관적 사실 기록 → 체계적 분류 → 학술적 분석
4️⃣ 독자층과 활용 목적 고려
구분 | 통사 지향 | 정사 지향 |
주요 독자 | 일반인, 교육 목적 | 연구자, 학술 목적 |
활용 방식 | 역사 이해, 교양 습득 | 학술 연구, 정책 참고 |
서술 톤 | 이해하기 쉬운 문체 | 정확하고 객관적인 문체 |
구성 방식 | 흐름 중심의 서술 | 체계적 분류와 정리 |
5️⃣ 품질 관리와 완성도 평가
통사 품질 기준:
역사적 흐름의 논리적 연결성
독자 이해도와 가독성
시대별 균형 있는 서술
역사적 맥락의 명확한 제시
정사 품질 기준:
사료의 정확성과 신뢰성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서술
학술적 엄밀성과 체계성
후대 연구를 위한 참고 가치
실제 사사제작에서의 적용 방법
Step 1: 프로젝트 성격 파악
의뢰 목적이 교육/홍보용인가, 학술/연구용인가?
독자층이 일반인인가, 전문가인가?
Step 2: 편찬 방향 결정
통사 지향: 이해하기 쉬운 역사 이야기로 구성
정사 지향: 정확하고 권위 있는 사료집으로 구성
복합형: 두 요소를 적절히 결합한 구성
Step 3: 사료 수집 전략 수립
통사형: 시대별 대표 사료 + 연결 고리가 되는 자료
정사형: 1차 사료 + 교차 검증 가능한 복수 자료
Step 4: 서술 방식과 편집 방향 설정
독자 친화적 vs. 학술적 엄밀성
스토리텔링 vs. 객관적 기록
해석과 의미 부여 vs. 사실 중심 서술
체크리스트: 우리 프로젝트는?
□ 통사적 요소가 필요한 프로젝트
기관/단체의 역사적 발전 과정 정리
교육 목적의 역사 교재 제작
일반인 대상의 역사 홍보물
□ 정사적 요소가 필요한 프로젝트
공식 기관지나 백서 제작
학술 연구용 사료집 편찬
법적/행정적 근거가 되는 기록물
□ 복합적 접근이 필요한 프로젝트
기념사업의 일환인 종합 역사서
다양한 독자층을 고려한 역사 콘텐츠
교육과 연구를 모두 고려한 사료집
통사와 정사는 역사를 기록하는 관점과 목적의 차이입니다. 사사제작에서 이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여 적용하면, 의뢰인의 니즈에 정확히 부합하는 고품질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