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집이란 무엇인가
- 리퍼블릭 편집부
- 6월 18일
- 1분 분량

사례집의 정의
사례집(casebook)은 실제 활동, 정책, 교육, 복지,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현장의 구체적인 실천사례를 모은 기록물입니다.
‘성과’보다는 ‘변화’, ‘결과’보다는 ‘과정’, ‘정보’보다는 ‘공감’을 중심에 둡니다.
📦 사례집의 필수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사례 선정 기준 | 지역/주제/대상별로 대표성 있는 사례를 선별 |
사람 중심 서사 | 참여자, 실천가, 현장 담당자의 경험 중심 스토리 구성 |
변화의 흐름 | 문제 → 개입 → 변화 → 교훈의 흐름 유지 |
시각자료 | 사진, 인포그래픽, 인터뷰 인용, 전·후 비교 자료 등 |
인사이트 요약 | 각 사례의 핵심 메시지를 짧게 정리해 독자 학습 유도 |
📘 사례집과 백서의 본질적 차이
항목 | 백서 | 사례집 |
목적 | 공식 보고, 경과 중심 정리 | 현장 공유, 변화 중심 전달 |
구성 | 제도 흐름, 추진 과정 | 사람 중심 사례 중심 |
서술 방식 | 연대기, 정책 중심 기술 | 스토리텔링, 인터뷰 중심 |
독자 | 정책 관계자, 연구자 | 실무자, 교육생, 일반 독자 |
톤앤매너 | 객관적·공식적 | 따뜻하고 구체적·감성적 |
✍️ 사례집의 서술 방식 예시
Case 1. “마을 도서관을 만든 엄마들”
배경: 경기도 ○○시, 도서관 없는 지역
도전: 3인의 부모가 독서모임을 시작
전개: 주민참여 예산 신청 → 마을도서관 설립
변화: 연 300명 이용, 아이 독서율 증가
교훈: “작은 움직임이 공동체를 바꾼다”
이처럼 사례집은 한 명의 이야기, 한 장면의 변화,
그 안의 감정까지도 정책 문서로 기록하려는 시도입니다.
💡 사례집의 의의
동기 부여 도구: 유사한 현장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극과 아이디어 제공
학습자료: 공공교육, 시민 교육, 직원 연수 등에서 실제 활용 가능
정책 개선 자료: 현장의 목소리를 모아 제도적 변화를 유도
홍보 콘텐츠: 기관의 실천력을 대외에 전달하는 감성적 매개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