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김치를 왜 그리냐면>이 출간되었습니다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7일 전
  • 2분 분량

김치 한 점에 담긴 50년 그리움 

‘김치 화가’ 송보영, 20년 붓질로 그려낸 《김치를 왜 그리냐면》

“김치 한 점이 어머니의 손끝, 마당 깊은 집의 웃음소리, 겨울 햇살 아래 말리는 배추 냄새를 불러일으키길 바랍니다.” ─ 송보영

ree

어린 송보영은 제주 유채밭에서 속으로 외쳤다. “나 커서 진짜 화가가 될 거야.”

그 꿈은 50년을 돌고 돌아 2025년 9월 19일,

246쪽 분량의 첫 작품집 《김치를 왜 그리냐면》(OHK 刊)으로 피어났다.

표지는 김치처럼 붉고 단단한 색감에 흰 글씨로 새겨진 제목.

속지는 배추잎처럼 맑고 투명한 수채화 물맛이 흐른다.

김치는 왜 그리는가

“김치는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한국인의 DNA입니다.”

질문

송보영의 답

왜 김치를 그리나요?

“엄마가 버무리던 양념 냄새, 종갓집 마당에 깔리던 멍석, 할머니의 누름돌… 그 모든 게 제 그림의 뿌리예요.”

다른 소재는 없나요?

“감도 그렸고, 한옥도 그렸죠. 하지만 김치만큼 제 마음을 ‘긁어주는’ 소재는 없었어요.”

그는 수채화·유화·혼합기법을 넘나들며 김치를 사실과 추상 사이에 걸쳐놓는다. 미술평론가 신항섭은 이렇게 평했다.

“번짐과 물맛의 깊이 있는 느낌이 시리도록 좋다. 맑고 투명한 색채의 향연.”

1장. 아로쉬지에 피어난 김치 꽃

  • 최홍열 선생님의 “다디단 쓴소리”

  •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할 수 없는 일”

  • 정영복 미술 공간에서 만난 튀김소보루 같은 사람들

2장. 그리움을 그리다

  • 첫 개인전 후기: “관람객이 김치 그림 앞에서 눈물 흘렸다”

  • 감 그림을 원하는 할머니와의 약속

  • “그리움이 그림이 되다”

3장. 서툴지만 솔직하게

  • AI 시대, 회화작가는 어디로?

  • 2023 대전 국제 아트쇼 참가기

  • 슬럼프 극복기: “사막에서 물을 찾다”

4장. 엄마의 가족들

  • 김치 궁물, 누름돌, 마중물

  • 어머니가 세 번의 죽을 고비를 넘긴 이야기

  • “엄마, 말보다 따뜻한 사람”

  • 김치 수제비 한 그릇에 담긴 가족애

5장. 김치 작가의 선물

  • 수채화 개론 (초보자도 읽기 쉬운 실전 팁)

  • 반 고흐의 편지를 읽으며 얻은 깨달음

  • 후손에게: “살다보니, 꿈은 노력하면 자란다”

 추천의 말, 소나무 화가 임영우

“송보영 화백은 김치 그림이라는 주제로 K-ART의 한 축을 담당할 작가입니다. 20년간 한 우물을 판 끈질긴 작가정신, 진실과 순수성이 담긴 작품 세계. 앞으로 더욱 발전하길 빕니다.”
  •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제 뜻은 언제나 그림에 있었다.”

  • “서툴지만 솔직하게, 그것이 나를 나답게 하는 길이다.”

  • “김치는 발효되는 음식이다. 제 그림도 그렇게 천천히 익어가길 바란다.”


책 정보 & 구매처


ree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