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 제작 기획: 발주처를 위한 실전 가이드 – 연표부터 자료 준비까지
- 리퍼블릭 편집부
- 2일 전
- 2분 분량

백서 제작 기획: 발주처를 위한 실전 가이드 – 연표부터 자료 준비까지
안녕하세요, 요즘 기업이나 기관에서 백서를 제작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죠. 백서는 단순한 보고서가 아니라, 브랜드의 전문성을 보여주고 잠재 고객을 설득하는 강력한 마케팅 도구예요. 하지만 기획 단계에서 자료 준비가 제대로 안 되면,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퀄리티가 떨어지기 십상입니다.
오늘은 백서 제작 기획 시, 발주처(클라이언트) 여러분께 드리는 실전 조언을 공유할게요. 특히 연표 작성부터 시작해 자료를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방법과, 자료가 부족할 때 단톡방과 F/T(Focus Team)를 활용한 대처법에 초점을 맞춰보겠습니다. 이 가이드를 따라 하시면, 백서가 더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완성될 거예요!
1. 왜 연표 작성부터 시작해야 할까?
백서 제작은 '큰 그림'부터 그려야 해요. 발주처 여러분, 기획 초반에 연표(Timeline)를 작성하지 않으면, 자료 수집이 산만해지고 마감이 촉박해집니다. 연표는 프로젝트의 로드맵이자, 팀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도구죠.
연표 작성 팁
기간 설정: 백서 규모에 따라 4~8주 정도로 잡으세요. 예를 들어, 20페이지 분량이라면:
Week 1: 기획 및 연표 확정
Week 2-3: 자료 수집 및 초안 아웃라인
Week 4-5: 초고 집필
Week 6: 리뷰 및 수정
Week 7-8: 디자인 및 최종 검수
도구 추천: Google Sheets나 Trello를 사용해 공유하세요. 각 단계에 담당자, 마감일, 산출물을 명확히 적으세요.
발주처 역할: 클라이언트로서 자료 제공 일정을 연표에 반영하세요. 예를 들어, "Week 2까지 내부 자료 제출"처럼요.
연표가 없으면, 자료 준비가 '언제든지' 돼 버려요. 이걸로 팀 전체가 방향성을 잃지 않게 하세요!
2. 자료 준비: 체계적으로 모으는 법
자료는 백서의 뼈대예요. 연표에 맞춰 준비하지 않으면, 작성자가 '공기놀이' 하게 되죠. 발주처 여러분, 내부 자료를 먼저 정리하세요.
단계별 자료 준비 가이드
기본 자료 수집 (연표 Week 1-2):
회사/프로젝트 배경: 연혁, 미션, 비전 문서.
데이터 중심 자료: 통계, 설문조사 결과, 사례 연구 (Case Study). 숫자가 많을수록 설득력이 UP!
참고 자료: 경쟁사 백서, 산업 보고서, 인터뷰 녹취록.
자료 분류 및 공유:
폴더 구조: '배경/데이터/이미지/참고'로 나누세요. Google Drive나 Notion으로 공유.
키워드 태깅: "매출 증가 사례"처럼 검색하기 쉽게 라벨링.
보완 자료 요청:
작성자에게 "이 부분에 대한 추가 데이터 필요"라고 피드백 주세요. 연표에 리뷰 시간을 여유롭게 두면 좋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료가 70% 이상 확보되면 초고 집필이 수월해져요. 기억하세요, 백서는 '팩트 기반'이 핵심입니다!
3. 자료가 없을 때? 단톡방 + F/T로 위기 탈출!
자료가 부족한 건 흔한 일이에요. 특히 신규 프로젝트나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약할 때요. 이때 발주처 여러분의 리더십이 빛납니다. 단톡방(그룹 채팅방)을 활용해 관련 실무자들을 초청하고, F/T(Focus Team)를 꾸려보세요. 이 방법으로 연표 재작성과 초고 집필을 병행하면, 프로젝트가 살아납니다.
실전 대처 스텝
단톡방 개설 (즉시 실행):
멤버: 관련 실무자 5~10명 (마케팅, 영업, 개발 등 부서 대표).
초대 메시지: "백서 제작을 위해 연표부터 자료 공유 부탁드려요. 매일 10분씩 업데이트!"
규칙: "자료 업로드 시 파일명에 날짜+키워드 넣기"처럼 간단히.
F/T 구성: 연표 작성부터 초고 집필까지:
F/T 역할 분담:
리더 (발주처 담당자): 연표 업데이트와 전체 코디.
자료 담당자: 각자 부서 자료 발굴 (e.g., 영업팀: 고객 피드백).
집필 서포터: 초고 초안을 브레인스토밍 (Zoom 미팅으로 주 1회).
활동 예시:
Day 1: 단톡방에서 연표 공유 → 실무자 피드백 수집.
Day 2-3: 자료 브레인스토밍 (e.g., "지난 프로젝트 데이터 어디서 찾을까?").
Week 2: F/T 미팅으로 초고 아웃라인 작성 → 작성자에게 전달.
도구 활용: KakaoTalk이나 Slack 단톡방 + Miro(온라인 화이트보드)로 협업.
이 방법으로 자료 공백을 메우면, 백서가 더 '내부 생생함'이 살아나요. 실제로 제가 경험한 프로젝트에서 F/T 덕에 자료가 2배로 늘었어요!
백서 제작은 연표부터 시작하는 '기획의 술'입니다. 자료 준비를 체계화하고, 부족 시 단톡방과 F/T로 팀을 모으다 보면, 결과물이 기대 이상으로 나올 거예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