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에세이책 대필작가와 AI라는 양날의 검

  • 작성자 사진: 리퍼블릭 편집부
    리퍼블릭 편집부
  • 7일 전
  • 2분 분량
ree

사람들은 편하게, 좋은 글을 쓰고 싶어서

전문 대필작가에게 맡깁니다.

사람보다 싸고 곱절은 편리한

AI가 나타나면서 책쓰기 시장에도 거대한

지각변동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라고

쓰게 될 줄 알았지만 상황은 반대네요.

챗지피티로 서툴게 정리한 글을

'굉장한' 원고라고 목청을 높이면서

찾아오는 분들의 글을 보면서

저는 속으로 꽤 안도했었더랬습니다.

'아, 아직까지 대필작가는 대체될 수 없는

직업이구나.'하고 말이죠.

잘 쓴 글과

못 쓴 글의 차이

좋은 글을 보는 관점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좋다, 나쁘다의

관점은 문장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는

취향과 성향의 문제니까요.

하지만 '잘 쓴 글이냐' 아니냐의 문제는

꽤 명확합니다. 내가 보기에 별로 안 좋은

글도 꽤 잘 쓴 글일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죠.

챗지피티가 쓴 글은 '못쓴 글'에

가깝습니다. 물론, 질문을 현명하게

던진다면 못쓴 글을 어느 정도는 만회해서

돌려줍니다. 그러나, 여기서 한 번더

'문학성'이라는 엄격성을 갖다 대면 챗지피티의

글은 아니올시다, 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런 비유가 적당할 지 모르겠지만,

글쓰기를 사람의 뜨개질에 비유한다면,

챗지피티의 글은 기계에서 자동으로

뽑혀나온 철사뭉치가 제멋대로

엉켜있는 형국이랄까요.

기계 특유의 압축적 비약과

더 이상 고쳐질 것 같지 않은 '번역투'

문장은 사실 한국어라는 특수한 언어로

해석되기에는 걸림이 되는 게 사실입니다.

물론 이런 언어적 감수성이 민감하지 않은 사람이

보기에 어떤 글은 꽤 '정제된' 것처럼 보일 순

있을 겁니다.

실제로 최근에 읽은 유명 경제잡지,

그리고 적잖은 팔로워 수를 보유한 뉴스레터

구독채널의 에디터의 글에서도 챗지피티의

흔적이 보이더군요. 저는 그 대목을 발견하고

해당 매체의 구독을 곧바로 끊었습니다.

(구독을 왜 끊는지 설명하면 개선하겠다고 하는데

과연... 그럴 수 있을지 의문이어서)

월 9,900원의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의

트렌드 리포트 성격의 매체이지만,

콘텐츠를 업으로 다루는 사람들이

챗지피티를 도구로 삼는 것을 넘어서

챗지피티에 '의존'하는 상황이라면, 그 매체의

앞날은 안 봐도 뻔한 것이고,

무엇보다 그런 글을 매일 같이 읽게 되면

저 역시도 챗지피티가 쓴 글이 '잘 썼다'고

환각(!)이 생길 것 같아서요.

참고로 챗지피티의 도움으로 콘텐츠를

만드는 것 자체를 반대하는 게 아닙니다.

챗지피티에 의존한 글과 챗지피티를

도구로 쓰는 글은 차원이 다르고, 저 역시도

도구적 맥락에서는 챗지피티를 거의

'노예'처럼 부리고 있으니까요.

끌려가느냐, 끌고 가느냐의 차이이고

아직까지 책쓰기의 영역에서는 챗지피티에

끌려다니는 분들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직업이 대필작가인 저로서는 다행스러운(?)

일이고, 챗지피티로

편리함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에세이, 자기계발서를

대필하는 저 같은 작가들의 '몸값'은

점점 더 올라갈 것이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