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컨설팅,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기업 대표들을 위한 책을 쓰고 싶어요"
- 리퍼블릭 편집부

- 6시간 전
- 3분 분량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일본·두바이 등 다국적 근무 경험을 가진 직장인이자 예비 창업 준비 중인 작가와 출판사 편집자(이하 ‘편집자’)의 화상 미팅이 진행됐다. 주제는 작가가 제출한 두 버전의 기획안에 대한 피드백과 국내 대형 서점 유통 중심 출판 프로세스 전반. 첫 책 출간을 고민하는 비즈니스맨·예비 작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1. 기획안 두 버전, 무엇이 문제였나?
버전 1 (최초안 – 작가가 선호)
제목 예시: 반복되는 실패와 도전에서 글로벌 비즈니스로
구조: 미국·일본·두바이 + 삼성·LG·SK 3社 × 3C/3F 프레임워크 → 실패 사례 중심 + 현장 인사이트
타깃: 중소기업·스타트업 대표/임원급 실무자 (B2B 코칭 고객층과 동일)
버전 2 (수정안 – 주변 피드백 반영)
제목 예시: 글로벌 비즈니스 리더
구조: AI 생성 목차 스타일, 성공담 + 일반론 중심
타깃: 20~40대 직장인 (너무 넓힘)
편집자의 날카로운 지적
편집자 결론: “최초안이 훨씬 낫다.” 주변 피드백(“대중적으로 가라”)은 판매량 환상일 뿐, 퍼스널 브랜딩에는 오히려 해롭다.
2. 출판 프로세스 A to Z (턴키 vs 코칭)
예약판매 & 베스트셀러 전략
예약판매 → 단기간 카테고리 베스트셀러 진입
네이버 검색 시 ‘베스트셀러’ 타이틀 노출 → 장기 랭킹 유지
3. 유통·마케팅·수익 구조
퍼스널 브랜딩 팁
책 속 QR코드 → 코칭 상담 연결
띠지 문구: “1:1 코칭권 포함” 등 리워드 제시
5. 계약·저작권·판권 핵심
6. 판매량 현실 체크
편집자: “100부 팔려도 그중 30명이 CEO라면 ROI 폭발.”
7. 작가에게 던진 결정 포인트
타깃 한 줄 확정 → “중소기업 해외 진출 담당 임원” vs “20~40대 글로벌 커리어 직장인”
프레임워크 유지 여부 → 임원 타깃이면 OK, 일반 직장인 타깃이면 스토리텔링 전환
국가 수 축소 → 미국 집중 vs 3개국 믹스 (초점 흐려질 가능성)
턴키 vs 코칭 → 시간 vs 비용 트레이드오프
“처음 아이디어를 믿어라”
편집자는 “주변 피드백은 판매량 환상”이라 단언하며, 작가의 최초 기획안(실패 사례 + 3C/3F)을 강력 추천했다. “책은 쉽게, 스토리텔링으로, 눈높이 확 낮춰야 팔린다”는 조언도 곁들였다.
첫 책을 준비하는 당신에게타깃 한 줄을 적어보라.실패 사례 3개를 먼저 써보라.“내가 코칭하는 그 사람”을 떠올리며 써보라. 그러면 방향은 저절로 나온다.




.jpg)


댓글